CS

CS/네트워크

[네트워크] IP 주소

1. ARP란? 📍 IP 주소로부터 MAC 주소를 구하는 IP와 MAC 주소의 다리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이다. ARP를 통해 가상 주소인 IP 주소를, 실제 주소인 MAC 주소로 변환하며,IP ➡️ ARP ➡️MAC 반대로 RARP는 실제 주소인 MAC 주소를 가상 주소인 IP 주소로 변환, MAC ➡️ RARP ➡️ IP 💡 MAC이란? 컴퓨터 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있는 컴퓨터의 물리적 주소이다. 2. 홉바이홉 통신 (hop by hop) 홉바이홉 통신 : IP주소를 통해 통신하는 과정이다. 홉(hop) : 건너뛰는 모습을 의미, 통신망에서 각 패킷이 여러 개의 라우터를 건너가는 모습을 표현 한 것입니다. 수많은 서브네트워크 안에 있는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 IP를 기반으로 패킷을 전달하고 또 전..

CS/디자인패턴

[디자인패턴] 프록시패턴

1. 프록시 패턴과 프록시 서버 프록시를 번역하면 대리자, 대변인의 의미를 갖고 있다. 대리자, 대변인은 누군가를 대신해서 그 역할을 수행하는 존재이다. 이는 프로그램에도 똑같이 적용된다. 즉, 프록시에게 어떤 일을 대신 시키는 것이다. 💡 프록시 패턴이란? 프록시의 의미처럼 객체를 사용하고자 할 때, 객체를 직접적으로 참조하는 것이 아니라, 해당 객체를 대행하는 객체를 통해 대상 접근하는 방식을 사용한다. 그러면 해당 객체가 메모리에 존재하지 않아도 기본적인 정보를 참조하거나 설정할 수 있고, 또한 실제 객체의 기능이 반드시 필요한 시점까지 객체의 생성을 미룰 수 있다. ✅ 프록시 패턴 장점 사이즈가 큰 객체(ex: 이미지)가 로딩되지 전에도 프록시를 통해 참조를 할 수 있다. 실제 객체의 public..

CS/자료구조

[자료 구조] 연결리스트, 배열, 벡터

💡 연결 리스트 (Linked List) 연결 리스트는 여러 개의 노드들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효율적인 형태를 갖는 자료구조 첫번째 노드 = head, 마지막 노드 = tail 각 노드는 데이터와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로 ****이루어져 있음 배열과는 다르게 메모리를 연속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. 배열과는 다르게 순차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면에서 불리할 수 있으나, 노드가 연결된 구조이기 때문에 삽입, 삭제에 용이함 Tree 구조의 근간이 되는 자료구조이며, Tree에서 사용되었을 때 그 유용성이 드러난다. ✅ 연결 리스트의 시간 복잡도 탐색 : O(n) 삽입 / 삭제 : 삽입과 삭제 자체는 O(1) 연결 리스트의 처음 삽입/삭제 : O(1) 연결 리스트 중간 삽입/삭제 : O(n) (탐색 시간 소요) ..

CS/운영체제

[운영체제] 프로세스와 스레드

프로세스와 스레드 ✅ 프로세스 : 운영체제로부터 자원을 할당받은 작업의 단위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, CPU 스케줄링의 대상이 되는 작업(task)이라는 용어와 같은 의미로 쓰인다. ✅ 스레드 : 프로세스가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하는 실행 흐름의 단위 프로세스와 컴파일 과정 ✅ 전처리 : 소스코드의 주석을 제거 및 헤더 파일을 병합하여 매크로를 전환 ✅ 컴파일러 : 오류처리, 코드 최적화 작업을 하며 어셈블러로 변환 ✅ 어셈블러 : 어셈블러는 목적 코드로 변환된다. ✅ 링커 : 프로그램 내에 있는 라이브러리 함수 또는 다른 파일들과 목적코드를 결합하여 실행파일을 만든다 ✅ 정적 라이브러리 동적 라이브러리 3. 프로세스의 상태 여러가지 상태 값을 가진다. 프로세스가 생성되고 끝날 때까지 계속해서 ..

CS/데이터베이스

[데이터베이스] 트랜잭션과 무결성

✅ 트랜잭션 :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 단위 여러 개의 쿼리들을 하나로 묶은 단위라고 말한다 ** 쿼리 : 데이터 베이스에 접근하는 방법 ✅ 트랜잭션의 전파 : 트랜잭션을 수행할 때 커넥션 객체를 넘겨서 수행하지 않고 여러 트랜잭션 관련 메서드의 호출을 하나의 트랜잭션에 묶이도록 하는 것 ✅ 트랜잭션 ACID 특징 1️⃣ 원자성 Atomicity : 트랜잭션이 DB에 모두 반영되거나 ,전혀 반영되지 않거나를 뜻한다. 예시) 트랜잭션을 커밋했는데, 문제가 발생하여 롤백하는 경우 그 이후에 모두 수행되지 않음을 보장하는 것을 말한다 💡 커밋이란? 여러 쿼리가 성공적으로 처리되었다고 확정하는 명령어 트랜잭션 단위로 수행되며 변경된 내용이 모두 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것 💡롤백이란? 트..

dalooong
'CS' 카테고리의 글 목록